1. RDBMS의 클라이언트/서버
: 많은 RDBMS가 클라이언트/서버 모델을 채택.
복수의 클라이언트가 보내오는 요청에 응답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/서버 모델로 동작.
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 요청이나 SQL명령 실행 요청을 보낼 수 있음.
서버는 이를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에 그 결과를 반환함.
일반적인 RDBMS는 네트워크 상에 하나의 서버를 두고 독점해 사용.
클라이언트/ 서버 모델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줌.
- 웹 시스템에는 없었던 '사용자 인증'이 필요.(사용자 별로 DB접근 제한 가능)
*웹 시스템: 브라우저와 웹 서보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/서버 모델의 시스템.
2.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
: 웹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조합으로 구축.
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HTML을 생성하려면 제어용 프로그램이 필요.
웹 서버에는 'CGI'라는 동적 콘텐츠르 위한 확장 방식이 있음.
이 CGI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과 웹 서버 간을 연동,통신하여 처리.
실제로 DB에 접속하는 것은 PHP나 루비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진 CGI 프로그램.
(웹 서버의 CGI프로그램이 DB의 클라이언트)
*CGI: Common Gateway Interface
게이트웨이의 개발언어로는 펄, 비주얼 베이직,PHP 등이 있음.
3. MySQL 서버와 mysql 클라이언트
: MySQL 서비스가 DB 서버가 되고, mysql 커맨드가 클라이언트가 됨.
PC 한 대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실행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기능 필요(루프 백 접속).
*루프 백 접속
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접속할 때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PC의 서버로 되돌아오는 형태로 접속.
'Software Engineering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조건 지정하여 데이터 검색 (0) | 2019.03.16 |
|---|---|
| DESC 명령 (0) | 2019.03.14 |
| 'SELECT * FROM 테이블명' 실행 (0) | 2019.03.12 |
| 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종류 (0) | 2019.03.10 |
| mysql 클라이언트 사용법 (0) | 2019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