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 mysql 실행하기

  : cmd창에 'mysql -uroot -p' 입력

 

1. SELECT 명령

 -SELECT는 DML에 속하는 명령으로 SQL에서 자주 사용됨.

 -DB의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음.

 -'질의'나 '쿼리'라고도 불림.

 

SELECT * FROM sample;

     ↑       ↑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↑

명령의종류 모든 열        테이블명

 

: 반드시 공백 포함. 세미콜론(;) 포함.

 

-명령의 종류

: 'SELECT 명령을 실행하세요'라는 의미

-모든 열

: 애스터리스크(*)는 '모든 열'을 의미하는 메타문자

-FROM

: 처리 대상 테이블을 지정하는 키워드

 

-SQL명령은 키워드에 의해 '구'라는 단위로 나눌 수 있음.

 ex) SELECT구, FROM구

 

2. 예약어와 DB 객체명

- SELECT와 FROM이 구를 결정하는 키워드이자 예약어(예약되어 있는 단어).

- DB객체명은 예약어와 동일한 이름 사용 불가.

- 예약어와 DB 객체명은 대소문자 구별하지 않음.

 

3. SELECT 명령을 실행한 결과 = 테이블

-표 형식의 데이터가 출력

-표 형식의 데이터는 '행(레코드)'과 '열(컬럼/필드)'로 구성.

-열마다 이름이 지정되어 있음.

-각각의 행과 열이 만나는 부분을 '셀'이라고 함.

-셀에는 하나의 데이터 값이 저장되어 있음.

 

-데이터는 자료형(수치형, 문자형, 날짜시간형 등)으로 분류.

-열은 하나의 자료형만 가질 수 있음.

 

4. 값이 없는 데이터 = NULL

-특별한 데이터 값.

-아무것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.

'Software Engineering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조건 지정하여 데이터 검색  (0) 2019.03.16
DESC 명령  (0) 2019.03.14
RDBMS의 클라이언트/서버  (0) 2019.03.10
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종류  (0) 2019.03.10
mysql 클라이언트 사용법  (0) 2019.03.07

+ Recent posts